본문 바로가기
사업/독립영화 비평전문지

[공모] 한국독립영화협회 제8회 독립영화비평상 공모 안내

by 한국독립영화협회 2025. 7. 31.

새로운 한국독립영화 비평가를 찾습니다. 

 

한국독립영화협회 독립영화비평상 선정사업위원회와 비평전문지 『독립영화』 편집위원회에서 새로운 한국독립영화 비평가를 찾습니다. 독립영화비평상 선정사업은 다양한 시각에서 한국독립영화의 세계를 냉철하게 바라보고 그것이 가진 고유한 언어를 탐색하는 과정에 함께할 비평 활동가를 발굴하기 위해 2018년부터 시작하였습니다. 과거에 ‘올해의 독립영화비평’이라는 이름으로 2015년에는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 관객기자단 인디즈를(단체수상), 2016년에는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 관객기자단 인디즈 김민형 기자를 차세대 비평 실천가로 조명한 바 있습니다.

 

제1회(2018년~2019년) 독립영화비평상에서는 임종우(문서비평 부문)를, 제2회(2020년)에서는 강소정(오디오비주얼필름크리틱 부문)을, 제3회(2021년)에서는 박동수(문서비평 부문)와 오진우(오디오비주얼필름크리틱 부문)를 수상자로 선정하였습니다. 제4회(2022)와 제5회(2023) 공모에서는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지만, 제6회(2024)에서 크고 작은 변화를 시도한 끝에 변해빈을 새로운 비평가로 소개하였고 제7회(2025) 독립영화비평상에서는 서은주를 수상자로 결정하였습니다.

 

독립영화비평상 선정사업위원회는 2024년 제6회에서 장평 단일 공모로 통합하고 비평의 대상을 한국독립영화에 대한 역사, 문화, 정책 등 담론과 현장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영역까지 확장하였습니다. 우리 사업은 오늘날 한국독립영화 비평의 매체성과 그것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 그리고 작품을 톺아보는 일을 포함해 그 작품을 관객과 매개하고 대화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의미를 생성해야 하는 현재 비평가의 사회문화적 역할을 끊임없이 질문하고 있습니다. 제8회 독립영화비평상 공모에도 많은 분들이 지원하여 한국독립영화 비평이 변화하고 전환하는 과정에 함께해 주시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8월 1일

제8회 독립영화비평상 선정사업위원회



독립영화비평상, 이렇게 지원 바랍니다.

 

가. 지원 자격

 

  • 국적, 경력, 나이, 학력 등에 제한 없습니다.

 

나. 지원 조건

 

  • 문서비평 장평 단일 공모로 진행합니다.
  • 장평 분량은 원고지(200자) 기준, 공백 포함 50매 이상입니다.
  • 비평 대상과 내용은 한국독립영화로 작품 제작과 개봉 시기에 제한이 없습니다. 그러나 국내외 영화제, 영화관 등 플랫폼을 통해 공개하여 상영(전시)한 이력이 있는 작품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 작품론, 작가론, 장르론, 배우론을 비롯해 한국독립영화에 관한 역사, 문화, 정책 등 담론과 현장 또한 비평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언론, 학회지, 학위논문, 잡지, 저널, 웹진, 개인 블로그 등에서 공개한 이력이 있는 글로 본 공모에 지원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가합니다.

 

다. 접수 기간과 접수 방법

 

  • 2025년 8월 1일 ~ 2025년 10월 31일 23:59 (해당 시간 도착에 한함)
  • 전자메일을 통한 접수: 제8회 독립영화비평상 선정사업위원회 kifv.critique@gmail.com
  • 전자메일 제목: [독립영화비평상8]_문서비평_OOO(지원자명)
  • 첨부파일 제목: 문서비평_OOO(지원자명)
  • 첨부파일(비평 원고)에 (1) 지원자 성명(본명) (2) 연락처(전화번호 & 전자메일)를 꼭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지원자당 한 편의 글을 접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초과(중복) 접수 시 해당 지원자의 글은 모두 탈락 처리합니다.
  • 궁금한 점이 있다면 우선 ‘제8회 독립영화비평상 FAQ’를 확인한 후, 필요 시 제8회 독립영화비평상 선정사업위원회 전자메일 kifv.critique@gmail.com 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답변에 3~5일 소요).

 

 

라. 심사 계획

 

  • 심사 기간: 2025년 11월 1일 ~ 2025년 11월 30일
  • 심사 결과 발표: 2025년 12월 8일
  • 한국독립영화비평상 비평분과 내외 전문 비평가 및 연구자 2인을 심사위원으로 위촉합니다.
  • 제8회 독립영화비평상 선정사업위원회는 심사위원 위촉에서 경력, 성별, 학력 및 출신 학교 등에서 다양성을 고려하고 편향성이 생기지 않도록 유의합니다.
  • 제8회 독립영화비평상 심사에서 지원자 성명과 연락처는 블라인드 처리합니다.

 

마. 수상 혜택

 

  • 제8회 독립영화비평상은 문서비평 부문 1인을 선정합니다.
  • 본 공모 당선자에게는 상금으로 일금 오십만원(₩500,000)을 지급합니다.
  • 본 공모 당선작은 한국독립영화협회 비평전문지 『독립영화』 제55호에 전문 게재하며, 상금과 별도로 소정의 원고료를 추가 지급합니다(비평전문지 『독립영화』 원고료 규정을 따름).
  • 본 공모 당선자는 이후 한국독립영화협회 회원 가입 시 비평전문지 『독립영화』 집필과 편집, 독립영화 정기상영 사업 『독립영화 쇼케이스』 기획과 편성 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한국독립영화, 여기서 만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플랫폼(영화관)

 

강릉독립예술극장 신영(강릉), 광주극장(광주), 광주독립영화관GIFT(광주), 더숲아트시네마(서울), 대구독립영화전용관 오오극장(대구), 대전아트시네마(대전),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서울), 라이카시네마(서울), 롯데시네마 아르떼(전국), 명필름아트센터(파주), 무사이극장(부산),  서울아트시네마(서울), 소소아트시네마(대전), 씨네큐브 광화문(서울), 씨네아트 리좀(창원), 씨네인디U(대전), 아리랑인디웨이브(서울), 아트나인(서울), 아트하우스 모모(서울), 안동중앙아트시네마(안동), 에무시네마(서울), 영화공간주안(인천), 영화의전당(부산), 인디플러스 천안(천안), 인디플러스 포항(포항), 인천미림극장(인천), 자체휴강시네마(서울), 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전주), 필름포럼(서울), 헤이리시네마(파주), BNK부산은행 아트시네마 모퉁이극장(부산), CGV 아트하우스(전국), KU시네마테크(서울), KT&G 상상마당 시네마(서울) 등

 

온라인 플랫폼(OTT)

 

넷플릭스, 보다(VoDA), 왓챠, 웨이브, 인디그라운드, 티빙, 퍼플레이 등



 

제8회 독립영화비평상 FAQ

 

Q1. 수상 이력이 있는 사람도 지원할 수 있나요?

A1. 새로운 한국독립영화 비평가 동료 발굴을 목표로 하는 제8회 독립영화비평상 공모에는 국적, 경력, 나이, 학력 등에 제한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Q2. 외국인도 지원할 수 있나요?

A2. 지원 자격에 국적 제한은 없습니다. 한국어로 비평을 작성하여 접수한다면 지원 가능합니다. 

 

Q3. 개인 블로그에 발행했던 비평으로 접수해도 되나요?

A3. 본 공모 당선작은 『독립영화』 제55호에 수록됩니다. 출처 문제 등이 복잡해질 수 있어 언론, 학회지, 학위논문, 잡지, 저널, 웹진, 개인 블로그 등 어떠한 매체에서라도 공개한 이력이 있는 글로 본 공모에 지원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가합니다. 지원자께서는 글을 작성할 때 인용과 출처 표기 등을 명확하게 해 주시기 바랍니다.

 

Q4. 영화관이 아닌 미술관 또는 복합문화공간 등에서 상영(전시)한 작품을 다루어도 되나요?

A4. 가능합니다. 한국독립영화 비평 공모이므로 해당 작품이 어떤 의미로 한국독립영화의 맥락에서 논의가 가능한지 서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Q5. 한국독립영화가 아닌 상업영화, 해외영화를 다루어도 되나요? 

A5. 독립영화비평상은 한국독립영화 비평 활성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한국독립영화를 비평하는 과정에서 상업영화나 해외영화를 호출하여 비교, 분석할 수는 있으나 상업영화와 해외영화를 중심에 둔 비평은 당선작으로 선정하지 않습니다.

 

Q6. 한국독립영화 작품이 아닌 기획전, 영화제, 정책과 제도 등에 대한 비평으로 지원해도 되나요?

A6. 가능합니다. 한국독립영화에 관한 역사, 문화, 정책 등 담론과 현장 또한 비평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Q7. 지난 독립영화비평상에 접수했던 비평으로 다시 지원해도 되나요?

A7. 불가합니다. 심사 과정에서 확인할 경우 탈락 처리할 수 있습니다.

 

Q8. 다른 영화비평(영화평론) 공모에 접수했던 비평으로 지원해도 되나요?

A8. 다른 영화비평(영화평론) 공모에서 최종 선정되지 않은 비평이라면 해당 글로 접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글이 본 공모의 취지와 조건에 부합하는지 검토해 주시기 바랍니다.

 

Q9. 비평을 여러 편 써서 접수해도 되나요?

A9. 불가합니다. 본 공모는 지원자당 한 편의 글을 받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지원 시 본명을 기재하여야 하며, 초과(중복) 접수 시 해당 지원자의 글은 모두 탈락 처리합니다. 심사 과정에서 지원자 성명은 모두 블라인드 처리합니다.

 

Q10. 현재 제작 중이거나 공개하지 않은 한국독립영화에 관해 비평을 써서 지원해도 되나요?

A10. 불가합니다. 본 공모는 비평 대상과 내용에서 한국독립영화 작품 제작과 개봉 시기 제한이 없지만, 국내외 영화제, 영화관 등 플랫폼을 통해 공개하여 상영(전시)한 이력이 있는 작품만을 대상으로 해야 합니다. 



댓글